반응형

업그레이드~!! 64

Doxverilog 주석달기

웬종일 주석다는 방법 알아보고 있는데 영 맘에 안든다;; 우선 알아본것만 정리해보면.. /*! a * multi line * comment */ or //% @file TEST.v //% @brief TEST program for U //% TEST module brief description -->그냥 주석달때 /*! * @mainpage TEST mainpage * @section Intro INTRO * - It is made for TEST. * @section Program PROGRAM * - Name : TEST * - Description : DisplayPort / Logic / ~~~ * @section INOUTPUT * - Input : * - Onput : * @section CR..

Doxverilog

하루에 두번 포스팅하는건 정말정말 오랜만인듯 ㅎ 설치 1. doxygen-1.7.5 2. Doxverilog2.6 --> Doxverilog2.6 압축풀면 README 파일이 있는데 설치 설명이 나와있다. System Requirements ====================== Name version URL ----- --------------- --------------------------------------- * bison 2.1 or higher http://www.gnu.org/software/bison/bison.html * flex 2.5.35 or higher http://flex.sourceforge.net * doxygen sources 1.7.0 http://www.doxygen..

ubuntu 명령어

ubuntu를 처음 사용하다 보니 모르는 명령어가 많다;; 리눅스를 얼마만에 만져보는건지 ㅋㅋ;; 1. chmod d : 디렉토리 구분 (d이면 디렉토리, -이면 파일) r : 읽기 권한 w : 쓰기 권한 x : 실행 권한 d / rwx / r-x / r-x 디렉토리 / 소유자 권한 / 그룹 권한 / 전체 권한 2. 프로그램 설치 $ sudo dpkg -i [패키지명.deb] or $ sudo apt-get istall [패키지명] 3. 프로그램 설치 확인 $ sudo dpkg -l [패키지명] 4. 프로그램 제거 $ sudo dpkg -r [패키지명.deb] or $ sudo apt-get remove [패키지명] 자세한 옵션은 모르겠지만, 대충 이런정도..?? ubuntu 에서 vim을 사용할때, V..

프로세스와 스레드

프로세스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EXE 파일을 보통 프로그램이라 부른다.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동작하고 있으면 이를 프로세스(Process) 혹은 태스크(Task)라고 부른다. 프로ㅔ스를 인스턴스라고 일컫기도 하나, 엄밀하게 말해서 인스턴스는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로딩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고, 프로세스는 메모리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스레드 윈도우 95와 NT부터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하나의 프로세스가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개의 프로세슬 나누어 동시에 실행되도록 할수 있게 되었다. 이때, 프로그램의 주 프로세스 외에 주 프로세스와 함께 동시에 실행되는 프로세스들을 스레드라고 부른다. 멀티스레드 프로그램 주 프로세스 외에 하나 이상의 스레드를 가지고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멀티스레드 프로..

업그레이드~!! 2011.03.22

캐패시터의 역할

커플링 콘덴서는 보통증폭기와 증폭기 사이에 위치하여 직류를 cut 시키고, 교류만 통과시켜주는 역활을 합니다. 이경우는 저역차단주파수에 의해 선정됩니다. 즉 다음단 증폭회로의 입력임피던스가 10k이라 가정하고, 저역차단주파수가 20hz라고 가정하면 f = 1/2πRC 값으로 C값을 정해줍니다. 여기서 20hz차단주파수라고 해서 20hz에 딱 맞추기 보다는 다소 여유있고, 5~10hz이하로 넉넉하게 계산해주는 것이 보통인데, 왜야 하면 전해콘덴서의 경우 온도가 내려가면 용량이 감소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bypass 콘덴서는 전원단의 +,- 에 연결하여 전원 line으로 흐르는 노이즈를 제거할 목적으로 주로 사용하는데, 이경우는 한마디로 다다익선입니다. 말그대로 용량이 높을수록 노이즈제거율이 ..

heap & stack

stack 스택이란 여러 개의 데이타 항목들이 일정한 순서로 나열된 자료 구조로 한쪽 끝에서만 새로운 항목을 삽입하거나 기존 항목을 삭제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스택은 동전을 넣고 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동전 케이스와 같은 작동 원리를 가지고 있다. 삽입된 동전들은 케이스 내부에 일정한 순서로 저장된다. 먼저 삽입된 동전은 케이스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고 가장 최근에 삽입된동전은 입구에 놓인다. 스택에 저장된 데이타 항목들 중에 먼저 삽입된 것은 나중에 삭제되고, 나중에 삽입된 것이 먼저 삭제된다. 그래서 스택을 후입 선출 리스트Last- In-First-Out List)라고 부른다. 선입 선출법을 사용하는 큐와는 상반된 성질을 가진다. 스택은 기저(base)로부터 데이타 항목들을 차례로 쌓아올린..

업그레이드~!! 2010.02.10
반응형